IE패치로 인한 플래쉬(Flash) 기술방법 안내
웹브라우저에서 기존에 실행되던 플러그인(플래쉬, ActiveX) 방식이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특허침해 소송으로 인하여 웹브라우저 구동방식에 변경이 있게 됩니다.
저희 카페24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플래쉬파일을 구동시킬 수 있는 함수를 자체 적용하여
함수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에 플래쉬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술태그(스크립트)를 아래와 같이 변경해야 예전
처럼 이용가능하오니 플래쉬를 적용하고 있는 운영사이트에서는 아래사항을 참조하여 수정
해주세요.
플래쉬를 이용하시는 부분에 대해서만 변경을 해주시면 되며, 플래쉬를 이용하지 않는 쇼핑
몰은 아래의 작업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기존 플래쉬 구동방법
<OBJECT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codebase="htt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5,0,0,0" WIDTH="가로크기" HEIGHT="세로크기">
<PARAM NAME=movie VALUE="플래쉬파일경로">
<PARAM NAME=quality VALUE=high>
<param name="wmode" value="transparent">
<PARAM NAME=bgcolor VALUE=#FFFFFF>
<embed src="플래쉬파일경로" quality=hig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shockwave/download/index.cgi?P1_Prod_Version=ShockwaveFlash"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가로크기" HEIGHT="세로크기">
</embed>
</OBJECT>
■ 새로운 플래쉬 구동방법
<script>
setemb = new set_Embed();
setemb.init('플래쉬파일경로','가로크기','세로크기','flash');
setemb.parameter('wmode','transparent'); // 별도 wmode 값을 기술할경우만 기재
setemb.parameter('FlashVars','a=1&b=3'); // 변수값을 전달하는경우만 기술
setemb.show();
</script>
--------------------------------------------------------------------
예제 >> HTML 디자인설정 사용자가 메인페이지 상단이미지의 공통모듈에 플래쉬를 사용하였을경우
■ 상단이미지에 게시판이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면
* 메뉴위치 :
HTML 디자인설정 탭 > HTML 디자인설정 > 공통모듈리스트 탭 > TOP 탭 > 05 상단이미지 >
“모듈편집” 클릭 => HTML 편집 탭 > 하단의 작은 플래쉬 항목 옆의 “편집”버튼클릭
아래와 같이 HTML 수정하세요.
* 기존 소스:
<OBJECT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codebase="htt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5,0,0,0" WIDTH="{{$img_array.a_7.2.width}}" HEIGHT="{{$img_array.a_7.2.height}}">
<PARAM NAME=movie VALUE="{{$img_array.a_7.2.url}}">
<PARAM NAME=quality VALUE=high>
<param name="wmode" value="transparent">
<PARAM NAME=bgcolor VALUE=#FFFFFF>
<embed src="{{$img_array.a_7.2.url}}" quality=hig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shockwave/download/index.cgi?P1_Prod_Version=ShockwaveFlash"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img_array.a_7.2.width}}" HEIGHT="{{$img_array.a_7.2.height}}">
</embed>
</OBJECT>
* 변경할 소스:
<script>
setemb = new set_Embed();
setemb.init('{{$img_array.a_7.2.url}}','{{$img_array.a_7.2.width}}','{{$img_array.a_7.2.height}}','flash');
setemb.parameter('wmode','transparent'); // 별도 wmode 값을 기술할경우만 기재
setemb.parameter('FlashVars','a=1&b=3'); // 변수값을 전달하는경우만 기재
setemb.show();
</script>
* 참조 : 기존소스에 변경한 내용이 없다면, 초기화 복구버튼을 클릭한다.
그 외 위의 기술적 사항 등을 확인하시거나, 직접 태그를 작성하셔서 수정하실 경우 아래를 참고합니다.
ActiveX 사용법 변경에 대한 MS의 입장
-> https://www.microsoft.com/korea/windows/ie/activex/default.mspx
ActiveX 컨트롤 활성화 가이드
-> https://www.microsoft.com/korea/windows/ie/activex/activate/default.mspx
일반사항에 대한 FAQ
-> https://www.microsoft.com/korea/windows/ie/activex/faq/default.mspx
기술사항에 대한 FAQ
-> https://www.microsoft.com/korea/windows/ie/activex/faq/default.mspx
위의 사항에 따라 2006/03/01 부터 IE업데이트의 선택적 운영 개시되며,
4/12 부터 사용자들의 자동업데이트를 통하여 새롭게 적용됩니다!
미리미리 수정하셔서 향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대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